Surprise Me!

[더깊은뉴스]침출수 터져 구역질…살처분의 역습

2018-08-06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구제역 등 전염병으로 살처분 된 가축들을 전국 곳곳의 매몰지에 묻은 지 7,8년이 다 돼 갑니다. <br> <br>하지만 침출수가 터져 나오고, 토양이 심하게 부식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요즘은 폭염까지 겹쳐서 인근 주민들이 악취로 고통받고 있는데요. <br> <br>사실상 방치된 매몰지의 실태를 짚어봤습니다. 정하니 기자의 더깊은 뉴스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"도대체가 무슨 냄새가 이렇게 독하냐고 와보니까 침출수가 나온 거예요. 동네가 발칵 뒤집혀 가지고." <br> <br>"묻은 사람이나 지역 사람이나 알지. 그냥 그 안에 있어. 돼지를 거기 묻은 거라고." <br> <br>"아니 파나 마나 지금 다 오염된 거야." <br><br><강원도 화천군> <br> <br>한적한 시골 마을에 있는 오래된 돼지 축사. <br> <br>썪은 물이 괸 웅덩이에 유충과 날파리가 꼬이고, 사방에 악취가 진동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어휴, 여기 냄새가." <br><br>최근 돼지축사를 개보수했는데 구제역 매몰지에서 침출수가 터져 나온 탓입니다. <br> <br>[주민] <br>"동네 사람들이 다 구역질을 하고 쫓아와서 확인을 해보니까 저기서 터져 나온 거예요. 밤에 더운데도 문을 못 열어 놓고 자요." <br> <br>코앞에 있는 우물물을 끌어다 농사를 짓은 주민들은 애가 탑니다. <br> <br>[주민] <br>"수질검사를 했는데 먹지는 못해도 농장에는 사용할 수 있다. 이제 그렇게 (군청에서) 얘기는 하는데… " <br> <br>군청은 이제서야 매몰지 소멸작업에 나섰는데, 파헤쳐진 매몰지 안은 땅속 깊은 곳까지 새까맣게 오염된 모습입니다. <br> <br>군청 측은 현행법상 3년의 관리 기간 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관리대상에서 해제할 수 있다고 해명합니다. <br> <br>[군청 관계자] <br>"2014년 4월 7일 날 모든 게 관리 해제가 됐어요. 쉽게 이야기해서 관리가 이제 저희 선에서 다 끝난 거예요. 일반지죠 그냥." <br><br>< 경기도 △△시 > <br> <br>쌀 생산지로 유명한 경기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. <br> <br>[주민] <br>"뭐 그거 개판이지 뭐. 지금도 여기 땅속에 묻은 거 안 파낸 거 있어. (옆 돼지 농장) 이 집 것만 파낸 거 같아." <br> <br>매몰지에는 들깨밭이 조성됐습니다. <br> <br>[땅 주인] <br>"그대로 묻혀있지." (몇 마리요?) "700~800마리." <br>"우리가 흙을 부은 거예요. 자꾸 눈에 보이니까 거슬리더라고. 그래서 그냥 생흙을 갖다가 (부었지)." <br><br>최악의 구제역이 발생한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살처분된 소와 돼지는 약 350만 마리. <br> <br>이후 살처분된 가축 등은 전국 4천500여 곳에 매몰됐습니다. <br><br>그나마 맨땅에 생매장하는 방식 대신 플라스틱 저장조나 원형 탱크에 묻고 있지만 관리는 엉망입니다. <br> <br><충청남도 논산시> <br> <br>2년 전 발생한 구제역으로 살처분 된 돼지가 매몰된 원형 탱크 위에 돼지 한 마리가 버려져 있습니다. <br> <br>폭염으로 폐사한 돼지인데 3년 동안 봉인한다는 규정을 어기고 매몰탱크의 뚜껑을 연 겁니다. <br> <br>[배재근 /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] <br>"전염병이잖아요. 오랫동안 시간이 지나면 구제역의 바이러스가 사멸한다고 하지만 그래도 또 다른 어떤 전염병원균들이 여기서 기생할 수가 있어요. 가장 중요한 게 뭐냐면 완전 밀폐에요. 완전 밀폐." <br><br>침출수 문제 등 토양오염 문제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정부는 부랴부랴 47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관리 기간이 끝난 매몰지 소멸작업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국가 차원의 구체적인 복원지침은 없습니다. <br> <br>[권순원 / 전 **시 환경보호과장] <br>"제가 매몰지 관리를 7년간 했어요. 지자체마다 (복원)기준이 다른 거죠. 어디는 파내서 사체만 처리하는 경우도 있고 흙은 그대로 땅속에 묻는 경우도 있고. 어디는 토양까지 처리를 해서 농지로 바꾸는 경우도 있는데." <br> <br>올해 소멸 작업을 한 매몰지를 찾았습니다. <br><br>[정하니 기자]<br>"제 오른쪽으로 보이는 곳이 지난 2010년 구제역이 발생한 돈사입니다. 당시 돼지 수백 마리가 이곳에 매몰됐는데요. 현재는 벼농사를 짓고 있습니다. 그런데 자세히 보시면 돼지가 매몰된 곳만 벼가 웃자라 있습니다." <br><br>오염된 토양을 복원했다고는 하지만 주변 땅과 같은 상태로 돌려놓지 못한 탓입니다. <br> <br>[배재근 /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] <br>"웃자라 있고 질소 과잉으로 인해서 색깔이 진해지고. 어느 정도 복원을 시켰지만, 아직도 사체의 영양원들, 질소 인들이 많이 표면에 집적 돼 있어서 그게 식물에 이제 영향을 주는." <br> <br>이제라도 매몰지 소멸과 복원에 대한 국가 차원의 가이드라인 제정이 시급해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하니입니다. <br>

Buy Now on CodeCanyon